[NBC-1TV H. J Yook]한국대표팀이 21일 멕시코 푸에블라에서 막을 내린 2013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서 남녀 종합 우승을 차지하여 종주국의 체면을 지켰다.연일 관중으로 꽉 찬 6천 석 규모의 푸에블라 전시장에서 열린 이번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는 총 134개국에서 950명의 선수가 참가했다.7일 간 열린 세계선수권대회는 국제 언론과 멕시코 현지인들의 높은관심을 끌었다. 하루 세 세션(예선, 8강, 준결 및 결승)으로 열린 대회 기간 매일 표가 매진되어 멕시코에서의 태권도의 높은 인기를 보여줬다.2011년 한국 경주에서 열린 2011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서 이란이 남자 종합 우승을 차지하여, 세계태권도선수권 사상 처음으로 한국이 남자 종합 우승을 실패했다. 중국은 지난 2009년 덴마크 코펜하겐 세계대회에서 한국을 제치고 처음 여자 종합 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남자 부문에서 한국은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누적 점수 60점으로 종합 1위를 했다. 이어서 이란이 금 1, 은 2로 총 48점을 얻어 종합 2위, 그리고 주최국인 멕시코가 금1, 은2, 동1로 총 47점으로 3위에 올랐다. 러시아는 은1, 동1로 총 31점으로 4위 그리고
[NBC-1TV 이석아 기자]제21회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 출전중인 한국이 대회 마지막 날 은메달 1개를 추가했다.김휘랑(동아대)은 22일 멕시코 푸에블라 전시장에서 열린 대회 여자 62㎏급 결승에서 호주의 마튼 카르멘에게 3대 7로 져 준우승에 머물렀다. 김휘랑은 3회전 중반까지 3-2로 앞서나갔으나 체력에서 밀리면서 동점을 허용했고, 종료 2초전 통한의 뒤후리기 머리공격(4점)을 내주며 허무하게 무너졌다. 한국 여자부는 이로써 금메달 3, 은메달 2개를 획득, 2011년 경주대회(금1, 은2, 동3)보다 훨씬 낳은 성적으로 종합우승을 굳혔다. 그러나 기대를 모았던 남자 80㎏급의 조유진(상무)는 이란의 강호 오미드 아미디와의 첫 경기에서 12대 24, ‘12점차 패’를 당해 탈락했다. 한국 남자부는 전날 금 3, 은 1, 동 1개를 따내면서 지난 대회에서 이란에 내준 종합우승을 되찾아왔다. 이번 대회서 이란은 금 1, 은 2개로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1년 제주대회 이후 한국은 최고의 성적을 거뒀지만 중량급에서는 단 1개의 금메달을 따내지 못해 이 체급 육성이 시급함을 일깨워줬다. 선수단은 24일 오전 3시30분 인천공항으로 귀국한다.
[NBC-1TV 이석아 기자]한국 태권도가 제21회 세계선수권대회 남녀 정상에 오르며 종주국의 자존심을 회복했다.한국은 21일 멕시코 푸에블라 전시장에서 열린 대회 남자 63㎏급의 이대훈(용인대)과 여자 57㎏급 김소희(한체대)가 각각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로써 한국은 남자부서 금3, 은1, 동1개, 여자부서 금3, 은1개를 획득, 대회 마지막날인 22일 남녀 한체급씩의 경기와 관계없이 남녀 종합우승을 확정했다. 한국이 이날까지 거둔 성적은 2001년 제주선수권대회이후 최고성적이다.한국 남자태권도의 에이스 이대훈은 결승에서 홈코트의 아벨 멘도사(멕시코)를 3회 28초를 남기고 16대 4로 제압, ‘12점차 승’을 거두고 지난 경주대회에 이어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김소희는 일본 여자선수로는 세계선수권 사상 처음 결승에 오른 하마다 마유를 15대 8로 제압하고 국제대회 첫 우승의 감격을 맛봤다.대회 2연패를 노리던 이대훈은 2회전 초반 8-0으로 앞선 상태에서 상대에게 얼굴공격을 허용, 코뼈가 부러지는 부상을 입고도 포기하지 않는 투혼을 발휘했다. 연속 몸통 공격으로 2회전을 12-3으로 크게 앞선 이대훈은 3회전 초반 상대의 뒤후리기 머리공격이 4점으로 인
[NBC-1TV 이석아 기자]멕시코와 태국이 17일(한국 시간) 멕시코 푸에블라에서 열리고 있는 2013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이틀째 경기에서 금메달을 1개씩 획득했다.멕시코의 우리엘 아드리아노(Uriel Adriano)는 남자 -74kg급 4강에서 한국의 김유진을 7-2로 이기고 결승에 진출해 러시아의 앨버트 가운(Albert Gaun)을 3-2로 역전승하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서 멕시코가 금메달을 획득한 것은 지난 79년 독일 슈투트가르트 대회 이후 처음이다. 멕시코는 지난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를 거머쥐며 태권도 강국의 위업을 이어가고 있다.러시아의 가운은 4강에서 튀니지의 사이페딘 트라벨시(Saifeddine Trabelsi)를 7-2로 누르고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여자 -49kg급 결승에서 런던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인 태국의 차나팁 손캄(Chanatip Sonkham)은 요르단의 다아 투란(Dana Touran)을 2회전 종료 시 13-0으로 12점 점수차승으로 완승하며 조국 태국에 금메달을 바쳤다.2013년 U.S.오픈 금메달 수상자인 손캄은 4강에서 쿠바의 야니아 아귀레(Yania Aguirre)를 14-2로 이기
[NBC-1TV 이석아 기자]WTF 이규석 현 집행위원이 15일(한국시간) 멕시코 푸에블라에서 열린 세계태권도연맹 총회에서 재선출돼 새로 선출된 정국현(51) 한국체대 교수와 함께 4년 동안 세계연맹 집행위원으로 활동한다.한국 국적을 가진 2명의 집행위원에 합류한 정 교수는 1988년 서울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세계선수권대회 4연패(1982·1983·1985·1987년)의 위업을 이룬 태권도 스타 출신으로 대한태권도협회 이사 자격으로 세계연맹 선출직 집행위원에 도전장을 던져 성공했다.34명이 입후보한 가운데 14명을 뽑은 이번 집행위원 선거에는 총회 투표에서 5개 대륙별로 최다 득표자 한 명씩을 먼저 선출하고 나서 대륙별로 5명을 넘을 수는 없는 규정속에서 대륙과 상관없이 9명을 득표순으로 뽑았다. 이번에 국적 기준으로 선출직 집행위원 두 명을 배출한 나라는 한국과 멕시코뿐이다. 세 명을 선출하는 부총재 선거에는 현 부총재 3명만이 입후보해 역시 만장일치로 선출됐다.아프리카연맹 회장인 이집트의 아흐마드 풀리, 아제르바이잔의 카말라딘 헤이다로프, 그리고 이탈리아협회장인 박선재 부총재가 재선임됐다. 한편 총재는 규약에 따라 선출직 외에 부총재 3명, 재무 1명
[NBC-1TV 이석아 기자]조정원(66 세계태권도연맹) WTF 총재가 4선에 성공했다. 조정원 총재는 15일(한국시간) 멕시코 푸에블라에서 열린 WTF 총회에서 차기 총재에 선임됐다. 홍문종(58) 새누리당 사무총장 겸 국기원 이사장의 출마로 경선을 벌일 예정이었지만 홍 이사장이 중도 사퇴를 선언하면서 단독으로 입후보한 조 총재는 투표 없이 만장일치로 추대됐다. 2004년 6월에 김운용 전 총재의 잔여 임기 10개월을 맡는 세계연맹 수장으로 선출된 조 총재는 2005년, 2009년에 이어 4선에 성공해 임기 4년의 총재직을 수행하게 된다.조 총재는 2006년에 세계태권도품새선수권대회를 신설했고, 2009년에는 세계장애인태권도선수권대회를 만들어 소외당한 이들도 태권도를 즐길 수 있도록 도와 태권도 저변 확대에 크게 기여했다. 지난해 런던올림픽에서는 전자호구와 비디오 판독 시스템을 도입, 판정 시비를 줄였고 박진감을 올렸다. 한편, 조 총재가 4선에 성공하면서 한국은 박상하 국제정구연맹(ISTF) 회장과 함께 국제경기연맹의 수장을 2명으로 유지했다.
[NBC-1TV 이석아 기자]무형문화재 제15호 호남 살풀이 이수자인 김희자53. 경기도)씨가 14일 오전 NBC-1TV 보도국을 방문해 이광윤 보도국장과 면담을 가졌다. 김 이수자는 현재 후학들에게 한국무용과 사물놀이를 지도하고 있다.
[NBC-1TV 이석아 기자]2002년 12월 국기원 직원 조민호(현 심사운영팀 전산과장)씨가 유단자 심사에서 합격한 응심자들의 종이 단증을 정리하고 있다. 국기원 초기에는 인쇄된 단증에 직접 성명을 펜으로 기입 하다 이후 컴퓨터 프린트식 지면 단증을 발급했던 태권도본부 국기원은 지난 2006년 4월 정보화사업을 시작하면서 현재는 플라스틱 재질의 단증을 발급하고 있다.
[NBC-1TV 이석아 기자]방한중인 세계 최고령 태권도 사범인 시카고 거주 박재수(78. 라이온스태권도장) 본관장이 3일 오후 김인수 지도관 중앙 부관장의 초청으로 부인 김용욱(67) 여사와 함께 경기도의 한 유원지에서 망중한을 보내고 있다.
[NBC-1TV 이석아 기자]국기원9단 최고고단자회 이영호(74. 대구 북구 서변동) 부회장의 젊은시절 수련 모습이 인상적 이다. 위 사진은 1967년 2월 금오산 상봉에서 미군들을 지도 할 때 찍은 사진으로 이 9단은 현재도 태권도 품새로 자신의 체력을 관리하고 있는 정통 태권도인의 귀감으로 각인된 인물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