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C-1TV 박승훈 기자]28일 오전 경복궁 흥례문 앞 광장에서 거행된 ‘6.25전쟁 60년 서울수복기념 국군의 날 행사’가 생동감 있는 시가 행진으로 축제 분위기를 고조 시켰다.기념식이 끝난 뒤 펼쳐진 이날 시가 행진에는 전투기의 도심 축하 비행이 진행되는 가운데 국군 군악대와 사관생도, 8개국 350여 명의 참전국 군악대와 참전용사들이 참여해 광화문에서 덕수궁 앞까지 힘찬 시가 퍼레이드를 벌이며 6.25전쟁 60년과 서울수복기념 국군의 날을 경축했다.
[NBC-1TV 박승훈 기자]6.25전쟁 60주년 서울수복기념 국군의날 행사가 28일 오전 국내외 참전용사와 참전국 정부대표(장관급), 주한 외교단, 시민, 학생 등 5,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경복궁 흥례문 앞 뜰에서 엄수됐다.6.25전쟁60주년기념사업회(위원장 이홍구)가 주관한 이번 행사는 6.25전쟁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전 세계에서 대한민국을 돕기 위해 참전한 UN 참전용사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하여 희생.헌신한 참전용사들의 고귀한 뜻을 기렸다.또 행사에 참여한 참전국(8개국 350여 명) 군악대는 기념식 후 국군 및 각국의 참전용사들과 시내 퍼레이드를 펼쳐 연도에선 시민들로부터 뜨거운 환영을 받았다.한편,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에서 “9.28 서울수복은 대한민국의 오늘이 있게 한 역사적 전환점”이었다며 순국 장병과 유엔군 장병들에게 감사의 뜻을 밝혔다.
[NBC-1TV 박승훈 기자]28일 오전 경복궁 흥례문 앞 광장에서 거행된 ‘6.25전쟁 60년 서울수복기념 국군의 날 행사’에 참석한 태국 군악대가 기념식을 마친 후, 각국 참전용사들과 함께 광화문에서 덕수궁 앞까지 시가 행진을 펼치고 있다.
[NBC-1TV 김은혜 기자]60년전 6․25전쟁당시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대한민국과 자유평화를 수호한 UN참전 21개국 정부대표단들이 6․25전쟁60주년기념사업위원회(공동위원장 국무총리, 이홍구 전총리)의 초청으로 9월 25일부터 한국을 방문하게 된다.4박 5일간의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하게 되는 에릭 신세키(Eric K. Shinseki)미국 보훈부 장관을 비롯한 17개국 70여명으로 구성된 UN참전국 정부대표방문단은 27일 국립묘지 및 전쟁기념관에서 헌화․참배행사를 갖고 28일에는 경복궁 흥례문앞 광장에서 개최되는 6․25전쟁 60주년 서울수복 및 국군의 날 행사에 참석한다.또 UN참전국 정부대표들은 기념식후 청와대를 방문하여 이명박대통령을 예방하고 주한 UN참전국 대사, 국내외 참전용사대표 등과 함께 이명박 대통령이 주최하는 오찬에 참석하게 되며 29일에는 DMZ를 방문하여 남북분단의 현장을 살펴보고 남북한 대치상황을 직접 눈으로 체험하게 된다.한편, 김양 국가보훈처장은 26일 저녁 하얏트호텔 남산룸에서 UN참전국 정부대표단과의 상견례를 겸한 환영리셉션을 개최하고 28일에는 잠실롯데호텔에서 UN참전국 대표단, 주
[NBC-1TV 김종우 기자]6.25 전쟁에 참전했던 소년·소녀병들이 7일 오후, 백발의 모습으로 보훈처 정문 앞에 나타나 국가유공자 예우를 요구하는 집회를 가졌다.이들은 1950년 6월 25일~ 1953년 7월 27일 사이 전쟁에 17세 이하의 나이로 입대하여 군번을 받고 참전한 소년·소녀병들로 60년만에 군인으로서의 실체를 인정 받았다.집회 참가자들은 "골수 빨갱이에게도 재일학도군 의용군으로 참전했다는 이유로 국가유공자로 인정, 월 100여만원을 지급했다"고 지적하고, 자신들은 현재 참전유공자에 포함돼 고작 참전명예수당월으로 월 9만원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국방부는 올해 2월 18일 "현역으로 6.25전쟁에 참전했던 소년·소녀지원병의 실체를 인정하기로 하고 이들의 병적 정정 작업을 연말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힌바있다. 앞서 지난 2008년 국민권익위원회의 권고 이후 국방부는 이들에 대한 병적기록 작업을 작년 12월부터 본격 시작했으며 현재 대상자 1만4,400여명 가운데 절반인 7,000여명의 정정작업을 끝낸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 가운데 생존자가 4,700여명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NBC-1TV 김종우 기자]제8주년 제2연평해전 기념식이 국가보훈처(처장 김양) 주관으로 29일 오전 10시 서울 용산의 ‘전쟁기념관 평화의 광장’에서 엄수된다.전사자 유족과 전상자, 3부 및 헌법기관의 주요인사, 각계대표, 시민, 학생 등 2,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정부행사로 거행될 이번 행사는 전사자와 전상자들의 국가를 위한 숭고한 헌신과 공훈을 기리고 이를 계승하여 나라사랑정신의 원동력으로 삼고자 학생 500여명을 특별 초청한다. 기념식은 헌화․분향, 부상자 이희완 대위의 경과보고, 인천오페라 합창단과 해군 군악대의 기념공연, 국무총리 기념사 순으로 진행되며, 식전에는 난타 공연과 제2연평해전 관련 동영상을 상영하고, 식후에는 해전에 참전한 참수리 357호 고속정 모형 관람과 「6.25전쟁 60년 특별기획전」 관람행사가 이어진다. 제2연평해전은 한․일월드컵 3-4위전이 있었던 2002년 6월 29일 오전 10시경 북한의 경비정 2척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하였고, 이에 대응하여 출동한 우리 참수리 357호 고속정에 선제 기습공격을 가해와 30여 분 간의 교전 끝에 우리 해군에서는 윤영하 소령 등 6명이 전사하고 18명
[NBC-1TV 육혜정 기자]23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리고 있는 6.25 전쟁 60주년 사진전을 방문한 글로스터 영국공작이 주한영국대사관 무관인 데이비드 그린우드의 안내로 사진을 관람하고 있다. 주한영국대사관과 국방부, 보훈처, 국회 등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이번 사진전은 23일부터 30일까지 한국전부터 세계 평화와 안보를 증진하기 위한 한-영 양국간의 다양한 사진을 전시한다.
[NBC-1TV 육혜정 기자]23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리고 있는 6.25 전쟁 60주년 사진전을 방문한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글로스터 영국공작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주한영국대사관과 국방부, 보훈처, 국회 등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이번 사진전은 23일부터 30일까지 한국전부터 세계 평화와 안보를 증진하기 위한 한-영 양국간의 다양한 사진을 전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