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C-1TV 김은혜 기자]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가 21일 야권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정수장학회에 대해 "가장 순수한 장학재단이 정쟁의 도구가 되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 후보는 이날 오후 3시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수장학회는 개인 소유가 아닌 공익재단이며 어떤 정치활동도 하지 않는 순수한 장학재단"이라며 "정치활동을 한다는 야당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또 "정치적인 논란의 중심에 서서 국민들에 혼란을 가져오고 정쟁의 도구가 되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하고, 정수장학회 최필립 이사장 등의 거취 문제와 관련 해서는 "이사진들은 정치 정쟁과 반목이 되지 않도록 국민들에게 의혹을 확실히 밝혀야 한다"고 주문하고 "이사진은 장학회 명칭을 비롯해 모든 것을 판단해 주길 바란다"고 희망했다.
고 김지태씨의 재산을 강제로 빼앗아 장학회를 설립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서는 "정수장학회는 김지태씨가 설립한 부일장학회를 승계한 것이 아니라 새로 만들어진 것"이라며 "김씨의 헌납 재산이 포함돼 있긴 하지만 국내 독지가나 해외 동포들의 성금과 뜻을 더해 새롭게 만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박 후보는 TV로 중계된 '정수장학회 기자회견'이 끝난 뒤 자신이 당당하게 피력했던 법원 판결에 대해 스스로 잘못을 시인하는 큰 실수를 저질렀다.
오후 3시21분쯤 질의응답을 마치고 기자들과 악수를 나누던 박 후보는 5분 뒤쯤인 오후 3시26분쯤 이정현 등 측근들에게 무언가 보고를 받은 직후 한 번 더 추가회견을 해야 했다. 다시 회견대에 올라 마이크를 잡은 박 후보는 당황 스러움을 감추지 못한채 "아이고, 중요한 얘기를…. 제가 (김지태씨 재산헌납 과정에) 강압이 없다고 얘기를 했습니까? 그것은 잘못 말씀드린 것 같습니다"라며 먼저 발언을 정정했다.
앞서 박 후보가 "유족 측은 강압에 의해 강탈당했다고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으나 법원에선 '강압적으로 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기가 어렵다', 그렇게 해서 원고가 패소한 것으로 알고 있다.", "(법원이) 저보다 많은 자료를 갖고 하지 않았겠느냐. 제가 그 판단을 받아들여야지."라는 부분의 발언 자체의 잘못을 시인한 셈이다.
앞서 서울중앙지법은 1심 판결에서 "김씨가 1962년 당시 박정희 정부의 강압으로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주식을 증여하게 된 사실이 인정된다고 밝혔다며 다만 법원은 김씨가 의사결정 여지를 완전히 박탈당한 상태에서 주식을 증여할 정도로 강박이 심했다고 보긴 힘들어 증여를 무효로 할 수는 없다"고 했었다. 주식 증여를 무효로 할 정도는 아니지만 강압 사실 자체는 인정한 것이다.
회견이 끝난 후 익명을 요구한 다수의 박 캠프 관계자들도 핵심 참모들의 면밀성에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이들은 지난번에도 2차 인혁당 사건과 관련해 "두 개의 판결이 있다"고 발언했다가 재심에서 난 무죄 판결을 부정하는 것처럼 비춰져 코너에 몰린 적이 있었다."며 "이번에도 1차 판결문에 대해 사실관계를 잘못 말해 논란을 키워 버린 양상"이라며 "아주 기본적인 내용 조차 검토되지 않았는지 이해 할 수 없다."고 허탈해했다.
민주당은 지난 ‘인혁당 사건’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법원 판결이 뭔지도 모른 채 그저 자신과 아버지를 감싸고 비호하기에 급급했다. 먼저 MBC와 부산일보 주식 강탈 여부에 대해 “법원에서 강압적으로 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기가 어렵다고 해서 원고패소 판결 내린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는데, 이 같은 발언은 법원 1심 판결을 정 반대로 인식하고 있는 자기변명"이라며 각을 세웠다.
한편 정수장학회는 현재 MBC의 지분 30%와 부산일보 지분 100%, 서울 정동 경향신문사 부지 2385㎡ 등을 소유하고 있다.